안녕하세요. 물류가 쉬워지는 공간, 트레드링스 입니다.
전쟁, 급격한 기후 변화 등으로 경제 상황이 요동치면서 기업, 소비자 모두 연료 가격이 급변함에 따라 큰 영향을 받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기업, 특히 선사가 운항비 보존을 위해 부과하는 긴급유류할증료(EBS)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긴급유류할증료(EBS)의 뜻
긴급유류할증료(EBS)는 Emergency Bunker Surcharge의 줄임말로, 물류, 운송 업계에서 전쟁이나 분쟁, 산유국의 담합과 같은 급작스러운 유가 변동 상황에서 선사가 운항비 손실을 보전하기 위해 급하게 부과하는 추가 요금입니다. 이 요금은 정기적으로 부과되는 것이 아닌 연료값이 특정 임계값에 도달될 때 임시로 시행됩니다.
긴급유류할증료(EBS)가 필요한 이유
연료값은 운송을 위주로 하는 기업에게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입니다. 그렇기 때문에 이 연료값이 급작스럽게 상승하게 되면 기업의 이익률에 심각한 영향을 끼쳐 일관된 서비스 가격을 유지하는 데 어려움을 겪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다음과 같은 이유로 긴급유류할증료는 필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재정 계획 안정화: 연료 가격이 급변해도 기업은 안정적으로 비용 변화 예측 가능
- 서비스 품질 유지: 연료 비용의 변동을 완화하여 서비스 품질 타협 없이 일정한 서비스 품질 제공 가능
- 운영 지속성 보장: 갑작스러운 재정적 부담으로 인한 운영 중단 방지
이처럼 기업의 안정적인 재정과 운영, 서비스 품질 지속을 위해 긴급유류할증료가 필요합니다.


긴급유류할증료(EBS) 계산 방법
다음은 긴급유류할증료가 어떤 식으로 계산이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이 비용을 계산할 때에는 다양한 요소를 고려해 책정됩니다.
- 기본 연료 가격: 특정 기간 내 평균 연료 가격으로 보통 지난 분기, 혹은 지난 해 평균 가격
- 현재 연료 가격: 주어진 시점의 실제 연료 가격으로 정부 보고서나 연료 가격 지수 등을 참고
- 임계 수준: 기본 연료 가격 초과 시 할증료가 적용되는 사전 결정된 가격 수준
- 할증률: 기본 서비스 비용에 추가되는 비율 혹은 고정 금액, 연료 가격과 임계 수준 사이의 차이 보상
이렇게 4가지 요소를 고려해 단계적으로 가격을 책정하게 되는데요,
- 기본 연료 가격 설정 → 2. 현재 연료 가격 확인 → 3. 현재 연료 가격과 임계값 비교 → 4. 할증률 적용 → 5. 서비스 비용에 할증료 추가
의 단계를 거쳐 서비스 비용이 정해집니다. 좀 더 쉽게 예시를 통해 한 번 살펴볼까요?
만약, 서비스 비용이 $100일 때 할증료가 붙으면 얼마가 되는 지 알아보겠습니다.
- 기본 연료 가격: 갤런당 $3.
- 현재 연료 가격: 갤런당 $4.
- 임계 수준: 갤런당 $3.50.
- 할증률: 5%.
- 기본 서비스 비용: $100
위와 같은 조건에서 단계별로 가격을 책정할 땐 아래와 같습니다.
- 초과 금액 = $4 – $3.50 = $0.50.
- 할증료 = ($0.50 / $3) * 0.05 * $100 = 0.0167 * $100 = $1.67.
- 최종 비용 = $100 + $1.67 = $101.67.
따라서 EBS가 적용된 서비스의 최종 비용은 $101.67이 됩니다. 물론 이는 정말 기본적인 가격 책정 방법이며, 실제 가격 책정 시에는 화물과 컨테이너 유형, 그리고 화물의 건식, 냉동 여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는 점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EBS vs BAF vs CBR
EBS와 비슷한 용어들로 BAF, CBR이 있는데요, 이들과의 차이점은 무엇인지 알아보겠습니다.
- EBS(긴급유류할증료): 급작스러운 유가 변동 상황에서 선사가 운항비 보존을 위해 긴급으로 부과하는 비용
- BAF(해상유류할증료): 해운 회사가 연료 가격 변동을 상쇄하기 위해 부과하는 할증료
- CBR(긴급유류할증료): EBS와 비슷하게 유가가 급작스럽게 변동할 시 IMO 2020 규정에 따른 연료 상승 비용을 회복하기 위해 부과되는 비용. Critical Bunker Recovery의 약자
더 쉽게 차이점을 비교해 보자면,
- EBS vs BAF: EBS는 예측하기 힘든 이유로 유가가 폭등할 때 부과되기에 나중에 고지되나, BAF는 사전에 고지됩니다.
- EBS vs CBR: 두 단어의 의미는 비슷하나 EBS가 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단기적으로 부과된다면, CBR은 좀 더 장기적으로 부과된다는 차이점이 있습니다. 따라서 EBS는 비정기적이고 철회될 가능성이 있지만, CBR은 정기적으로 평가 및 조정되며 장기적인 요금 조정 시스템을 갖고 있습니다.
●함께 보면 좋은 컨텐츠 모음●
홍해 사태, 실제 지연 시간 ShipGo로 살펴보기
견적부터 선적까지 플랫폼으로 한번에 해결하기
정확한 ETA 데이터를 확보하고 활용하는 방법은?
아날로그 버리고 ‘물류 금메달’ 딴 싱가포르
물류에서 SaaS 솔루션이 왜 필요할까
태풍이 오면 수출입 선박은 어떻게 대처할까?
‘3척 중 2척은 지각’ 해상 운송의 불안정성 극복법
수출입 기업을 위한 물류 플랫폼 활용 가이드
노르딕슬립 “유럽, 미국서 수출입하는 기업에겐 필수 서비스”
33조 시장을 선도하는 물류 스타트업, 트레드링스
삼성전자 ‘협성회’ 회원사가 선택한 수출입 물류 솔루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