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No.1 수출입 물류 플랫폼 트레드링스입니다. 글로벌 공급망 혼란으로 수출입 운임이 급등하는 가운데트레드링스 고객님들의 안전하고,…

트레드링스만이 보유한 국내 최대 수출입 물류 빅데이터를 통해 제공해드리는
12월 글로벌 운임 리포트가 발표되었습니다.
트레드링스 글로벌 운임 리포트를 통해, 전 세계 수출입 운임을 확인하시고,
보다 안전하고, 편리한 수출/수입 업무를 진행하시기 바랍니다.
월간 운임 시황

수출 운임 주요 국가 전월 대비 평균 15% 증가 FCL 기준 (40FT)
- 전월 대비 일본 하카타 제외하고 전 구간 FCL (40FT) 운임 증가
- LCL 기준, 가장 많이 운임 오른 구간 : 인도네시아 자카르타(▲2900%), 남중국(▲56%), 말레이시아 포트클랑(▲50%) 순
트레드링스 글로벌 운임 리포트는 트레드링스에서 실제 진행한 운임을 기반으로 제작된 것으로, 시장 평균 대비 약 30% 저렴하게 나올 수 있습니다.
컨테이너 운임지표

- SCFI (상하이컨테이너운임지수)가 지난 달 4596.59에서 4561.78 포인트로 소폭 상승
- CCFI 역시 상승 (3291.26 → 3240.72)
주요 구간 운임 변동률 TOP3

- 주요 국가 중 운임 변동률이 가장 높았던 국가로는
1위 북중국 (신강/대련) 200%▲, 2위 인도네시아 자카르타 111%▲, 3위 일본 (도쿄/요코하마, 오사카/나고야) 90%▲
시장 동향
아래 동향을 클릭하면 관련 뉴스로 이동합니다.
- 해운운임 사상 최초 4700선 돌파, 물류대란 더 장기화될 가능성 제기
- 동남아 항로 4주 연속 상승…사상 최초 성수기할증료 도입
- 공급망 정체 지속으로 전체 선대의 약 12~15%가 유실되는 효과 발생. 또한 오미크론 변이 확산에 따라 세계경제 불확실성 증가
- 중국의 전력 부족은 석탄 공급 증가 이후 다소 완화되었으나 경기 침체, 부동산 부채 문제, 코로나 변종 등의 이슈로 4분기 중국 GDP 성장률은 다소 둔화될 것으로 예상
- 10월 정시성은 34.4%로 전년대비 18%p 하락. 이는 올 7월(▼40%p) 대비 개선된 수치이지만, 작년 말부터 급격히 악화된 항만 정체에 따른 착시효과도 존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