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기업들 많이 진출한 베트남 북부지역
→ 한 번의 정전으로 베트남 북부 산업 단지에 있는 5개 제조업체에 19만 달러 이상의 손실 발생
안녕하세요. 물류가 쉬워지는 공간, 트레드링스 입니다.
최근 베트남 북부지방을 중심으로 전력 부족 현상이 장기화되면서 순환 정전에 조업을 중단하는 생산 공장들이 늘어나고 있습니다.
베트남은 삼성전자, SK, 효성 등 수많은 우리 기업들이 진출하고, 또 투자를 늘려오고 있는 시장입니다.
뿐만 아니라 애플이나 구글, 델 등 글로벌 기업들 역시 지난 수년간 이어진 미중 무역갈등, 펜데믹과 러-우 전쟁 으로 인한 글로벌 공급망 재편 등을 계기로 생산 기지를 중국에서 베트남으로 옮기고 있는데요,
이에따라 이번 베트남 정전 사태로 인해 전 세계 공급망 시장에 엄청난 타격이 갈 것이라는 전망이 나오고 있습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발생하고 있는 베트남 정전이 글로벌 공급망에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까요?
그리고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들은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베트남 정전 상황
최근 베트남은 연일 폭염이 계속되는 가운데 전력 수요가 급증하면서 6월 초부터 정전 사태가 발생하고 있습니다.
베트남의 5월 평균 전력 수요는 4월 대비 20%이상 증가했고, 수도 하노이의 전력 수요는 6월 8일 8,560만 kWh로, 5월의 7,540만 kWh에 비해 13.5% 증가했습니다.
안타까운 사실은 베트남은 발전량 대부분을 수력, 화력 발전에 의존하고 있는데, 40℃도를 넘는 폭염과 이상기온으로 발전용 물 부족 사태가 발생하고 있다는 것입니다. 현지 언론에 따르면 4월과 5월 저수지의 저수량은 평균의 50%에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알려졌고, 베트남 북부와 중부의 11개 발전소가 기상이변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뿐만 아니라 석탄 공급이 발전소의 수요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으며, ,600㎿의 재생에너지가 있지만 법적 문제와 부족한 송전선 인프라로 인해 사용할 수 없는 등의 문제도 지금의 정전 사태를 일으키는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습니다.

기상 이변으로 인한 지역별 산업 영향
자, 그렇다면 이번 전력 부족 사태가 베트남의 지역별 산업에는 어떤 영향을 미쳤을까요?
베트남 북부
우리 기업이 많이 진출해있는 베트남 북부 지역은 중국과의 근접성과 남부 베트남에 비해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광업, 제조, 생화학, 상업, 하이테크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인기 있는 지역입니다.
또한 이번 정전으로 국내를 비롯해 일본, 유럽 기업들이 직접적인 영향을 받았는데요,
일본 상공회의소에 따르면 한 번의 정전으로 베트남 북부 산업 단지에 있는 5개 제조업체에 19만 달러 이상의 손실이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하노이 (Hà Nội)

주요 산업
■ 서비스, 전자, IT, 농업 및 식품 가공, 기계 공학, 무역 및 소매, 부동산 등
정전 피해 영향
■ 덴소, 파나소닉, 스미토모, 캐논, 몰렉스 등 일본 전자제품 제조업체들이 정전으로 인해 영향 받아…
이 때문에 일본 상공회의소는 베트남에서 생산을 이전하는 방안을 고려 중
■ 스미토모 하노이 공장은 파나소닉, 토토, 신에츠 화학의 이웃 회사에 미치는 영향을 줄이기 위해
롤링 블랙아웃(Rolling Blackout, 겹치지 않는 기간 동안 영역의 다른 부분에서 전원 공급이 차단되도록 하는 방식)을 사용

박장성 / 바짱 (Bắc Giang)

주요 산업
■ 비료, 첨단 기술, 엔지니어링, 건축 자재, 자동차 조립, 농업 가공, 임산물, 섬유, 전력 발전 등
■ 애플, 삼성전자, 럭스쉐어 프리시전(Luxshare Precision Industry) 등 최고의 하이테크 공급업체가 위치

정전 피해 영향
■ 노키아, 캐논, ABB, 킹빌 XNK 주식회사, 삼성 등 기업의 생산 시설에 영향
■ 알루미늄 생산업체 KingBill XNK 주식회사의 이사는 26시간 동안의 정전으로 인해 1만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보고
■ 현지 관리들 애플 공급업체인 폭스콘에 6월 9일부터 20일 동안 저녁 시간대 생산을 중단하도록 명령.
■ 지금까지 애플은 정전으로 인한 혼란을 확인하는 성명을 발표하지 않아
■ 옌퐁 산업단지의 정전으로 인해 기계 부속품의 생산 및 수출이 지연될 예정
■ 산업단지에 입주한 삼성, 오리온, 한설, KCC, 오뚜기 등 기업들은 공단 내 발전기 대부분을 차량 진입을 위한 게이트 개방에 사용하고 있으며, 수출과 주문 배송이 지연 중 또한 근로자들도 집으로 돌아갔으며 일부는 급여 삭감에 직면
박닌성 (Bắc Ninh)

주요 산업
■ 전자, IT, 기계, 제조업 등
정전 피해 영향
■ 옌퐁, 다이동호안, 탄홍, 기업들이 발전기를 임대하여 생산을 지속하고 있는 산업단지에 피해 발생
■ 노키아, 캐논, ABB, 킹빌 XNK 주식회사, 삼성 등 기업의 생산 시설에 영향
■ 알루미늄 생산업체 KingBill XNK 주식회사의 이사는 26시간 동안의 정전으로 인해 1만 달러 이상의 손실을 입었다고 보고
■ 옌퐁 공단의 정전으로 인해 기계 부속품의 생산 및 수출 지연 – 공단 입주 기업으로는 삼성, 오리온, 한설, KCC, 오뚜기 등
■ 공단 내 발전기 대부분이 차량 진입을 위한 게이트 개방에 사용되고 있어, 수출과 주문 배송이 지연 중
■ 근로자들 집으로 돌아갔으며 일부는 급여 삭감에 직면
하이퐁 (Hải Phòng)

주요산업
■ 조선, 철강, 시멘트 생산, 화학, 신발, 의류, 섬유 등
■ LG와 테슬라와 애플의 공급업체인 페가트론 위치

정전 피해 영향
■ 해운 산업에 차질이 생기면서 일본, 한국, 유럽으로의 수출에 혼잡이 가중 이로 인해 인근 항구에 적체가 발생하고 이동이 불가능한 부패하기 쉬운 상품에 피해가 발생
■ 영향을 받은 PORT : 탄부 PORT, 추아베 컨테이너 PORT, 하이퐁 PORT
■ 적재 장비를 작동하고 트럭을 시원하게 유지하는 데 전력이 필요하기 때문에 장기간의 전력 손실로 인해 운송 장비가 손상
■ 예상치 못한 정전이 6시간 이상 지속되어 항구는 대기 중인 선박에 3만~5만 달러의 보상금을 지불해야 하고, 정박료를 보전하고 배송 지연에 따른 벌금을 지불해야 하는 사태 발생 → 현재 베트남 물류 비즈니스 협회, 베트남 선박 대리점, 중개인 및 해양 서비스 제공자 협회, 베트남 선주 협회 등이 국영 전력회사 EVN에 불만 사항과 해결책을 제안
베트남 정부의 대응책
자, 이처럼 베트남의 정전 사태가 장기화되면서 베트남 정부는 이를 해결하기 위해 분주한 모습을 보이고 있는데요, 현재 베트남 정부가 준비하고 있는 대응책에는 어떤 것들이 있을까요?
현재 베트남 정부는 2024년 초까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되며, 베트남 정부는 2025년까지 에너지 소비를 매년 2%씩 줄이는 것을 목표로 대응책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먼저 베트남 무역부는 이번 정전 사태를 해결하기 위해 정부 기관에 석탄과 가스 사용을 늘려달라고 요청했습니다.
또한 중국으로부터 에너지 수입도 진행하고 있는데요, 베트남은 현재 국내 전력 공급에 대한 부담을 완화하기 위해 윈난성 채널을 통해 연간 약 20억kW의 전력을 중국에서 수입 하고 있으며, 지난 5월, 중국남방전력망공사와 베트남전력공사(EVN)는 중국 남부의 동싱에서 베트남 북부의 몽까이까지 110kWh 송전선로를 통해 전기를 송전하는 계약을 체결하기도 했습니다.
또한 베트남에는 현재 소비율 기준 65년치 석탄이 남아있는데요, 베트남 정부는 2050년 까지 석탄 화력 발전에서 벗어나겠다고 약속하기도 했습니다.

베트남에 진출한 기업은 어떻게 대응해야할까?
그렇다면 베트남에 진출한 우리 기업들은 이번 정전 사태를 어떻게 대응해야할까요?
먼저 기업은 보다 원활한 생산 및 운영을 위한 에너지 마련에 집중해야합니다.
기업이 에너지를 마련하는 방법에는 여러가지가 있는데요, 이 중 최근 베트남에 있는 기업들 사이에서는 자가 발전, 배터리 저장, 절전, 직접 전력 구매 계약(DPPA)과 같은 새로운 방식으로 에너지를 공급받으려는 움직임이 빠르게 퍼지고 있습니다.
이는 직접 전력 구매 계약(DPPA)을 체결하게되면 베트남전력공사(EVN)와 같은 중개업체가 아닌 발전업체로부터 직접 전력을 조달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이 외에도 기업은 생산 및 운영을 위한 구체적인 계획을 수립하고 항만 및 공급업체에 배송 지연 또는 적체 상황이 발생 시 빠르게 알리고, 협업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지금처럼 예상치 못한 위험이 발생할 경우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공급망에 속한 관계자들이 효율적으로 소통하고, 빠르게 해당 정보를 공유해서 협업하는 것 입니다. 이러한 방식은 공급 부족, 리드타임 증가 등 기업이 마주칠 수 있는 모든 위험에 가장 저렴하고도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해주고, 나아가 위험비용을 줄여주죠.

또한 공급망을 원자재 수준까지 맵핑하고, 연중무휴 24시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는 것 역시 필요합니다.
지난 몇 년 간 우리가 경험한 것 처럼, 공급망의 위험이 가장 무서운 점은 멀리 떨어진 한 곳의 아주 작은 장애가 전체 공급망을 위협할 수 있는 수준으로 커질 수 있다는 점 입니다.
따라서 공급망의 흐름을 맵핑한 뒤, 직•간접 적으로 영향을 받는 현장을 파악한다면, 위험이 발생했을 시 실무자는 최악의 영향을 피할 수 있는 리드타임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같은 시스템 마련에도 도저히 해결이 되지 않을 경우, 혹은 베트남 공급 업체의 의존도가 높은 경우, 공급 중단의 영향을 사전에 완화하기 위해 지금부터 대체 공급 업체를 찾는 것 역시 좋은 대안이 될 수 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