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급망 교란 상황이 10% 늘어날 경우 생산자 물가는 0.36% 상승

2022년, 4월 7일
공급망 교란 상황이 10% 늘어날 경우 생산자 물가는 0.36% 상승

최근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바이러스가 확산되고, 러-우 전쟁, 미·중 패권경쟁 등 공급망을 교란시키는 상황들이 계속 이어지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이런 가운데 국제 공급망 교란 상황이 10% 늘어날 경우 생산자 물가는 0.36% 상승한다는 연구 결과가 발표되어 주목을 받고 있습니다.

국책연구기관인 산업연구원은 지난 6일, ‘글로벌 인플레이션 요인이 국내 제조업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보고서를 발표하며 이 같은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국내 생산자 물가 상승률 추이

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최근 국내 전체 산업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지난해 11월 9.8%로 2008년 금융위기 이후 최고 수준을 기록한 데 이어 올 2월에도 8.4%로 계속 높은 수준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소비자물가 역시 이에 연동해 지난해 10월 10년 남짓 만에 3%대를 넘어선 데 이어 올 3월 4%마저 넘어서며 현 정부 및 차기 윤석열 당선인 인수위에 비상이 걸린 상황이죠.

트레드링스 뉴스레터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가, 원자재, 공급망

보고서는 최근 생산자물가 상승의 주된 이유로 국제유가와 국제 원자재가격 상승을 꼽았습니다.

이와 함께 국제유가가 10% 오를 때마다 생산자물가는 0.68%씩 오르고 국제 원자재가격 역시 평균 10% 오를 때마다 생산자물가가 0.50%씩 오른다고 분석했습니다.

지난해 배럴당 70달러 전후이던 두바이유가 올 2월 100달러를 돌파한 만큼 40% 이상의 인상 요인이 발생했으나 생산자물가도 2.72% 이상 인상 요인이 발생했다는 것입니다.

최근의 글로벌 공급망 교란 역시 그 정도가 10% 커질 때마다 생산자물가가 0.36% 오른다고 분석했습니다. 이는 공급망 교란이 유가·원자재 같은 전통적인 요인 못지않은 변수라는 것입니다.

특히 음식료품이나 섬유·가죽, 비금속광물, 금속가공, 전기장비 업종은 공급망 교란 영향이 유가 영향보다 크거나 거의 비슷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코로나19 대유행 이후의 각국 경기부양책 등 글로벌 유동성은 일부 업종에는 영향을 줬으나 10%가 늘더라도 전산업 생산자물가는 0.003% 오르는 데 그치는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즉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종합적으로 살펴보면 현재 물가 상승에 영향을 주는 요인은 유가, 원자재, 공급망인 것입니다.

보고서는 이 같은 분석 결과를 토대로 정부가 물가상승 요인별로 대책을 마련해 생산자물가 상승에 따른 기업의 채산성 저하와 국제 가격경쟁력 저하를 최소화해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전통적인 물가인상 요인인 원유나 원자재 가격 상승 땐 정부가 위험관리 체계 구축과 원자재 시장정보 실시간 공유하며 기업과 함께 대응책을 마련하고, 최근 그 중요성이 커지는 글로벌 공급망 충격에 대해서도 맞춤형 대책이 필요하다는 것입니다.

이에 따라 보고서를 작성한 강성우 산업연구원 동향·통계분석본부 연구원은 공급망 교란 단기 대응책으로 물류비 지원을 통한 생산비용 절감, 장기 대책으론 업종별 공급망 재점검을 통한 핵신 산업 특정 국가 의존도를 낮추고 수급을 안정화하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이와 함께 “글로벌 공급망 충격이 길어질수록 생산자물가 반응 정도가 높아지는 분석 결과를 고려할 때 최근 공급망 교란에 따른 국내 판매가격 전가 정도도 함께 높아질 우려가 있다”며 “오미크론 확산세와 미·중 기술패권 경쟁으로 당분간 공급망 불안과 물류 애로가 이어질 전망인 만큼 장·단기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