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원산지증명서란? 원산지증명서는 물품의 원산지가 어디인지 증명하는 문서로, 수출입을 진행하면서 접하는 부대 서류로서 사용됩니다.때로는 신용장…
우리 화물을 해외로 수출하려고 준비하다 보면
‘원산지 검증’을 진행해야한다는 안내를 받게 됩니다.
수출 화물 원산지 검증이란
수출 물품에 대해 협정 및 법령에서 정하는 원산지 및 증빙서류 등의 사후 조사를 통해
특혜 요건의 적정성 확인과 적발된 위반사항에 대한 제재 조치하는 행정 절차를 말합니다.
이처럼 수출 화물 원산지 검증을 진행하는 이유는
불공정행위를 방지하고, 3국을 통한 우회 수출입 및 관세탈루 방지,
공정한 FTA 무역질서 확립 등을 위해서랍니다.

수출물품 원산지 검증 종류
수출물품 원산지 검증은
직접 검증과 간접 검증 두가지로 나뉩니다.
직접 검증이란 수입국에서 상대국의 수출자나 생산자에게 직접 관련 정보를 요구하고,
현장 방문을 통해 검증하는 방식을 말합니다.
현재 우리나라와 FTA를 맺은
미국, 칠레, 싱가포르, 캐나다, 뉴질랜드, 호주, 페루, 콜롬비아, 중미 5개국은
우리나라와의 수출입 진행 시 이 직접 검증방식을 진행하고 있죠.
간접 검증은 수입국에서 수출국으로 원산지 확인을 요청하면
이후 수출국에서 수출자를 대상으로 검증을 진행하여 수입국으로 결과를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현재 한국과 FTA를 맺은 EU, EFTA, 터키, 아세안, 베트남, 중국, 인도는
우리나라와의 수출입 진행 시 간접 검증방식을 이용하고 있습니다.
참고로 우리나라와 호주, 페루, 콜롬비아, 중미는
앞서 설명드린 직접검증과 간접검증 모두 이용할 수 있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