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극항로가 열린다! 10년 만에 재도전하는 한국, 부산이 상하이를 넘어설 수 있을까?

2025년, 8월 13일

안녕하세요. 물류의 새로운 기준, 트레드링스 입니다.

우리나라가 10년 만에 다시 북극에 도전합니다

최근 해양수산부 전재수 장관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정부 내 북극항로 업무 전담조직을 연내 신설하고 내년에 북극항로 시범 운항에 나설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또한 북극항로 시범 운항을 나서는 선사도 지원할 계획이라고 밝혔습니다.

북극항로가 열리게 되면 수에즈 운하를 거치지 않고도 유럽에 도착할 수 있는 꿈의 항로가 현실이 되는 것인데요, 9년의 공백을 깨고 다시 시작되는 한국의 북극 도전. 과연 이번에는 성공할 수 있을까요?

지금부터 그 이야기를 자세히 들려드리겠습니다.

1. 9년의 공백, 그리고 2025년 재도전

2013년 현대글로비스가 처음으로 북극의 얼음을 갈랐습니다. 2016년까지 한국 쇄빙 탱커들은 총 5번 북극항로를 항해했죠. 그리고… 멈췄습니다. 왜였을까요?

9년이 지난 지금, 상황이 바뀌었습니다. 지구온난화로 북극의 얼음이 녹으면서 여름철 선박 운항이 훨씬 수월해진 것입니다. 해양수산부에 따르면 2027년이나 2030년경에는 아예 연중 운항이 가능해질 수도 있다고 합니다. 365일 북극을 통과할 수 있는 시대가 오고 있는 것이죠.

그래서 정부가 움직였습니다. 올해 안에 북극항로 전담조직을 만들고, 2025년에는 컨테이너 선박으로 시범 운항을 재개한다는 계획입니다. 한국 해운회사와 조선업체에 새로운 수익원을 만들겠다는 전략이죠.

2. 중국은 이미 북극을 누비고 있다

우리가 9년간 망설이는 동안 중국은 무엇을 했을까요?

중국의 양푸 뉴뉴 해운은 이미 북극항로의 가장 활발한 이용자가 되었습니다. 러시아 정부 기관인 로사톰과 손잡고 항구와 내빙 선박에 투자까지 하고 있죠. 북극에서 중국의 존재감은 이미 확고합니다.

해양수산부 전재수 장관은 이런 상황을 두고 “미국과 중국이 북극 지배권을 노리는 상황에서 한국이 뒤처질 수 없다”고 말했습니다. 그의 해법은 무엇일까요? 부산을 상하이와 맞먹는 북극항로 허브로 만들겠다는 것입니다.

흥미로운 점은 한국의 ‘역발상’ 전략입니다. 다른 국가들이 중국의 확장을 견제하려는 국제 정세를 활용해, 부산이 상하이보다 더 매력적인 선택지가 될 수 있다는 계산이죠. 이를 위해 해양수산부를 아예 부산으로 이전하고, 여수-광양-부산-울산-포항으로 이어지는 북극항로 경제 구역까지 구상하고 있습니다.

특히 부산 진해신항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21개 선석에 2030년 개항할 가덕도 신공항까지, 북극항로의 출발점으로 최적의 조건을 갖췄다는 평가입니다.

3. 현실의 벽과 2025년 시험대

물론 현실은 녹록치 않습니다.

가장 큰 문제는 비용입니다. 쇄빙선 운영비와 보험료 등 북극항로는 일반 항로보다 훨씬 많은 돈이 듭니다. 정부는 이를 인정하면서도 “시범 운항에 나서는 해운회사들을 재정적으로 지원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하지만 해운업계는 조심스럽습니다. HMM은 지난달 북극항로의 계절성과 흘수 제한 때문에 수익성 있는 운항이 어렵다는 입장을 밝혔죠. 그렇다면 누가 나설까요? 정부는 아직 밝히지 않았지만, 현재 러시아 항로를 운영 중인 장금상선이 유력한 후보로 거론됩니다.

2025년 시범 운항이 성공할까요? 부산이 정말 상하이를 넘어설 수 있을까요? 한국의 북극 도전이 이번에는 다른 결과를 만들어낼지, 물류업계가 주목하고 있습니다.

, , ,